‘혐오 바이러스’ 확산, 그리고 기업의 책임 2020년 4월 13일 김성환 KISO위원 칼럼, KISO저널 제38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지나간 자리에 상처가 가득하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는 수많은 생명을 앗아갔을 뿐만 아니라, 마음 속 불안과 공포까지 자라나게 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마음… 더 읽어보기→
KISO 정책위원회 10년, 심의 사례 10선 2019년 6월 28일 KISO 정책팀 KISO저널 제35호, 정책 및 심의결정 리뷰 들어가며 2009년 설립된 KISO는 2019년으로 10년을 맞는다. 10살이 된 KISO는 정책위원회를 중심으로 공동의 게시물 정책 마련 및 검색어 서비스 정책 마련뿐만 아니라, 온라인… 더 읽어보기→
[대담] 진실과 거짓의 싸움에 정부 개입 안 돼…한국형 자율규제 틀 마련해야 2019년 3월 29일 KISO 기획팀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자율 경쟁 상황 지켜보는 정부 인내심 절실” “더 많은 회원사 참여… 향후 10년 미래 내다봐야” 정부 규제 완화에 따른 보완적 처방으로 ‘자율규제’에 대한 요구가… 더 읽어보기→
[KISO 연구원 인터뷰] “현실 부딪히며 문제 해결…객관적이고 신중한 자세 유지해야” 2019년 3월 29일 KISO 기획팀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2009년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는 인터넷 사업자들의 시장 자율 정화를 목적으로 설립됐다. 이후 지난 10년간 이용자들의 표현의 자유를 신장하는 동시에 인터넷 공간의 공공성을 제고토록 노력해왔다. ‘규제’란 법제도만을 의미하는… 더 읽어보기→
최근 10년간 국내 인터넷 자율규제 관련 법적 환경의 변화 양상 2019년 3월 26일 황창근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Ⅰ. 들어가며 한국의 인터넷 자율규제의 역사는 일천하다. 그 이유에 대하여는 자율규제의 역량 부족, 토대 결핍, 기존매체와 차별성 부족, 규제권한의 중시, 정책입안절차의 미비 등이… 더 읽어보기→
온라인 허위‧과장광고 근절을 위한 자율규제의 실효성 강화방안 2019년 3월 25일 손봉현 KISO저널 제34호, 이용자 섹션 1. 들어가며 최근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이 4조 4천억 원 규모로 성장한 가운데, 식‧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보험에서 부동산 중개 광고에 이르기까지 허위‧과장광고가 급증하고 있다는 기사를 심심치… 더 읽어보기→
해외 동영상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 정책 소개 2018년 12월 28일 KISO 기획팀 KISO저널 제33호, 해외 자율규제 소식 유튜브(YouTube) 2005년 2월 페이팔(PayPal)의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Chad Hurley), 스티브 첸(Steve Chen), 조드 카림(Jawed Karim)에 의해 설립됐다. 사용자가 직접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시청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더 읽어보기→
온라인 부동산 매물 광고의 자율규제 현황과 정책 제언 2018년 9월 11일 이형찬 KISO저널 제32호, 이용자 섹션 일반적으로 부동산은 부동성(immobility), 영속성(indestructibility), 부증성(limited supply), 개별성(heterogeneity) 등의 특징을 지닌다. ((방경식, 장희순(2002). 『부동산학개론』. 서울: 부연사. 130-134)) 이러한 성질로 부동산의 판매(분양) 또는 거래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가… 더 읽어보기→
영국, 비영리 정보보호 기구 소개(ISF ; Information Security Forum) 2018년 6월 27일 KISO 기획팀 KISO저널 제31호, 해외 자율규제 소식 1. 설립 배경 1989년에 설립된 ISF(Information Security Forum)는 세계 각국의 인터넷 기업 회원으로 구성된 비영리 독립 조직이다. ISF는 인터넷 기업들의 정보 보안 및 위험… 더 읽어보기→
‘가짜뉴스’ 관련 정책규정 개정의 건 2018년 6월 19일 구본권 KISO저널 제31호, 정책 및 심의결정 리뷰 1. 정책 규정 신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는 2018년 3월22일 제121차 정책위원회를 열어 이른바 ‘가짜 뉴스’ 관련 정책규정을 신설했다. KISO는 이날 회의에서 기존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규정에 가짜 뉴스…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