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시간체제론의 관점에서 본 기본소득론 1. 현재 진행형의 시간을 둘러싼 투쟁 윤석열 정부가 소위 ‘주 69시간 근로제’ 추진을 공식화한 것이 2023년의 일이었다. 연장 근로 상한을 집중하면 특정 주는 최대 80.5시간까지도…
문화시평 페이크와 팩트 – 왜 합리적 인류는 때때로 멍청해 지는가(The Irrational Ape) 2025년 2월 24일 김대기 KISO저널 제58호, 문화시평 1. 들어가며 출근길 수많은 정보로부터의 유혹이 시작된다. 정치, 사회, 연예, 문화, 셀 수 없는 분야의 정보들이 자기를 이해해야만 한다고, 때로는 친밀하게 때로는 집요하게 나의 뇌를…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불안 세대 : 디지털 세계는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병들게 하는가. The Anxious Generation: How the Great Rewiring of Childhood is Causing an Epidemic of Mental Illness. 2024년 12월 17일 김현경 KISO저널 제57호, 문화시평 I. 시작하며 이 책의 저자인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는 2018년부터 소셜미디어가 십대의 정신건강 쇠퇴와 민주주의에 미치는 손상에 대하여 연구했다. 저자는 임상심리학자나 미디어 연구자가 아닌 사회심리학자로써 십대의…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정보를 만든 인류는 왜 정보에 조종당하는가? 2024년 11월 25일 구본권 KISO저널 제57호, 문화시평 인간 지능을 능가하는 수준의 기계지능이 등장해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다. 지금까지 정보를 만들고 유통하고 이용하는 유일한 주체는 인간이었는데, 변화가 생겨났다. 무어의 법칙을 능가하는 속도로 빠르게 발달하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에서 미디어를 다시 보다 2024년 9월 10일 박성순 KISO저널 제56호, 문화시평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은 인터넷 밈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본 책이다. 책의 제목만 봤을 땐 유명한 밈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 밈에 의한 현상들을 고찰할 것이라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왜 디지털 세상의 미래 예측은 어긋날까? 2024년 8월 23일 구본권 KISO저널 제56호, 문화시평 디지털과 인공지능 세상에서는 변화의 속도와 파장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고 강력하다. 언제나 세상은 변화해왔지만, 최근 변화의 특징은 점점 더 그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흐름은 그 흐름에서 벗어나야 보인다!” 2024년 6월 11일 김윤명 KISO저널 제55호, 문화시평 초거대 언어모델(LLM)은 인간의 언어인 자연어를 인간이 아닌 제3의 객체가 이해한 최초의 것이다. 전문가의 영역에 있던 인공지능(AI)을 일반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자연어를 이해하는 커다란…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2000년생이 온다 2024년 5월 16일 권경원 KISO저널 제55호, 문화시평 # 인기 예능 프로그램 ‘SNL 코리아’ 속 코너, ‘MZ 오피스’에선 직장에서 자유롭게 브이로그를 촬영하는 사원으로 주현영이 출연한다. 매번 선배들의 뒷목을 잡게 만들었던 주현영은 어느덧 선임이…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제정신이라는 착각 2024년 3월 4일 진민정 KISO저널 제54호, 문화시평 미디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허위정보나 음모론 등은 등한시하기 어려운 주제다. 다만 이런 문제에 대한 접근은 늘 제한적이었다. 즉, 극단적이고 갈등적인 콘텐츠에 가시성을 부여하고 편향적 정보 소비로…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무한경쟁에서 돌봄의 시대로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2024년 2월 28일 이희옥 KISO저널 제54호, 문화시평 ‘… 이 글을 쓰는 장소는 고속철의 객실입니다.’ 시대예보라는 중대한 주제에 비해 책의 프롤로그를 시작하는 첫마디는 가볍고 경쾌하다. 이 글 역시 저자의 관점에서 출발해보고자, 국토를 연결하는…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