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문화시평] 안드레아스 와이겐드 저, 『포스트 프라이버시 경제』 2019년 3월 13일 구본권 KISO저널 제34호, 문화시평 프라이버시는 인터넷 디지털 사회에서 답과 균형점을 찾기 어려운 고난도의 딜레마다. 기술기업과 사용자 차원에서 각각 상반된 논리가 부닥치는 게 프라이버시다.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프라이버시의 시대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유튜브 컬처 2018년 12월 3일 구범준 KISO저널 제33호, 문화시평 유튜브 전성시대이다. 앱 분석 기업 '와이즈앱'이 올해 5월에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유튜브 앱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이다. 모바일 동영상 앱 사용시간 점유율로…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고독이 없는 시대에는 대화할 수 있는 능력도 사라진다 2018년 9월 17일 전숙경 KISO저널 제32호, 문화시평 셰리 터클(Sherry Turkle)의 『대화를 잃어버린 사람들』은 온라인을 통한 수많은 소통이 오히려 인간의 진정한 연결 능력을 파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연결할 능력의 파괴란 인간이…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세계시민, 아직 도래하지 않은 인간성의 구현을 위하여 2018년 6월 14일 도승연 KISO저널 제31호, 문화시평 누스바움(M. C. Nusbaum)의 『인간성 수업: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원제: Cultivating Humanity (1997))은 500페이지에 달하는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주장의 요지는 의외로…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다빈치에서 인터넷까지 2018년 3월 7일 김훈건 KISO저널 제30호, 문화시평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근래 여러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난 2017. 5.에 앞당겨 치러진 대통령 선거의 주요 후보자들 모두 ‘4차 산업혁명’에 관한 나름의 공약을 내세웠다. 문재인…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호모 사피엔스라는 정류장을 떠나 미지의 미래로 향하는 인류 : 호모데우스 2017년 11월 3일 구본권 KISO저널 제29호, 문화시평 2017년 출간된 <호모 데우스>는 유발 하라리가 2015년 펴내 전세계에서 600만권 넘게 팔려나간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후속편이다. 전작의 명성과 관심 속에 출간된 <호모 데우스>는 첫해에만 300만권 넘게…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올 비즈니스 기회 2017년 9월 25일 윤은상 KISO저널 제28호, 문화시평 가상화폐. 많은 사람들에게는 개념도 생소한 존재가 황금알을 낳는 유망한 투자처로 혜성처럼 등장하였다. 1년에 수십배의 “투자수익”을 기록한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는 일부에서 투자광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는가 하면,…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미래의 정체, 정말 보여준다 2017년 4월 10일 김연지 KISO저널 제27호, 문화시평 미래에 대한 궁금증이 어느 때 보다 강한 시대다. 그 중 이 책의 저자, 케빈 켈리가 미래를 바라보는 시선은 독특하면서도 설득력이 있다. 케빈 켈리는 기술을 중점으로…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정보 사회의 통제에 대한 용기 있는 물음 -올리버 스톤 감독의 <스노든> 2017년 3월 16일 강성률 KISO저널 제26호, 문화시평 아는 것처럼, 영화 <스노든>은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아예 영화 제목이 논란이 되었던 사람의 이름이니, 나는 지금 당연한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두…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인류의 미래는 괜찮아 vs 아니 계속 우울할거야 2016년 12월 15일 정혜승 KISO저널 제25호, 문화시평 3천명이 30~95달러를 내고 토론을 듣기 위해 모인다. 토론 멤버는 그야말로 슈퍼스타급. 90분 동안 당대의 가장 뜨거운 쟁점을 놓고 토론이 벌어진다. 청중들은 투표로 심판한다. 캐나다의 멍크…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