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지능화사회, 자동화된 불평등을 말하다 2019년 12월 18일 이희옥 KISO저널 제37호, 문화시평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은 미래사회를 상상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요소들이다. 이들 중 인공지능은 인간의 노동력과 의사결정을 기계가 대신해주리라는 인류의 기대가 실현되는 과학기술의 종착역이 아닐까…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탈진실 시대에 팩트를 논하다 2019년 9월 30일 김유향 KISO저널 제36호, 문화시평 팩트(사실)란 무엇인가? 거미줄같이 연결된 소셜 네트워킹의 시대, 진짜 같은 가짜를 만들어내는 딥페이크(deep fake) 시대, 첨단 AI와 ICT 기술의 발전의 시대에 인간은 더 똑똑하면서 자유로워지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연결사회, 신권력 주인으로서의 초대 2019년 6월 4일 이희옥 KISO저널 제35호, 문화시평 인터넷의 확산, 디지털화와 네트워킹에 기반한 지식정보화 시대를 지나오면서 데이터 권력이라는 주제로 수많은 담론이 오갔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데이터 권력의 등장을 예견했으며, 미래 사회는 데이터를 장악하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2019년 3월 13일 구갑우 KISO저널 제34호, 문화시평 '4차 산업혁명' 대 '세 세기 산업혁명'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가운데 하나로 네트워크 이론을 국제정치학에 접목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미래전략네트워크”란 연구모임이 출간한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글로벌…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안드레아스 와이겐드 저, 『포스트 프라이버시 경제』 2019년 3월 13일 구본권 KISO저널 제34호, 문화시평 프라이버시는 인터넷 디지털 사회에서 답과 균형점을 찾기 어려운 고난도의 딜레마다. 기술기업과 사용자 차원에서 각각 상반된 논리가 부닥치는 게 프라이버시다.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프라이버시의 시대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유튜브 컬처 2018년 12월 3일 구범준 KISO저널 제33호, 문화시평 유튜브 전성시대이다. 앱 분석 기업 '와이즈앱'이 올해 5월에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유튜브 앱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이다. 모바일 동영상 앱 사용시간 점유율로…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고독이 없는 시대에는 대화할 수 있는 능력도 사라진다 2018년 9월 17일 전숙경 KISO저널 제32호, 문화시평 셰리 터클(Sherry Turkle)의 『대화를 잃어버린 사람들』은 온라인을 통한 수많은 소통이 오히려 인간의 진정한 연결 능력을 파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연결할 능력의 파괴란 인간이…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세계시민, 아직 도래하지 않은 인간성의 구현을 위하여 2018년 6월 14일 도승연 KISO저널 제31호, 문화시평 누스바움(M. C. Nusbaum)의 『인간성 수업: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원제: Cultivating Humanity (1997))은 500페이지에 달하는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주장의 요지는 의외로…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다빈치에서 인터넷까지 2018년 3월 7일 김훈건 KISO저널 제30호, 문화시평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근래 여러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난 2017. 5.에 앞당겨 치러진 대통령 선거의 주요 후보자들 모두 ‘4차 산업혁명’에 관한 나름의 공약을 내세웠다. 문재인…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호모 사피엔스라는 정류장을 떠나 미지의 미래로 향하는 인류 : 호모데우스 2017년 11월 3일 구본권 KISO저널 제29호, 문화시평 2017년 출간된 <호모 데우스>는 유발 하라리가 2015년 펴내 전세계에서 600만권 넘게 팔려나간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후속편이다. 전작의 명성과 관심 속에 출간된 <호모 데우스>는 첫해에만 300만권 넘게…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