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문화시평] 뉴 엘리트 2020년 12월 4일 이명진 KISO저널 제41호, 문화시평 최근 새로운 지식 창출과 확산 유형인 집단지성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집단지성의 예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인터넷상에서 ‘위키피디아’나 ‘네이버 지식인’…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창조력 코드 2020년 9월 28일 김상순 KISO저널 제40호, 문화시평 수학자와 법률가 『창조력 코드(2019)』(The Creativity Code: How AI is Learning to Write, Paint and Think)는 수학자가 인공지능(알고리듬)에 대하여 쓴 책이다. 부제에서 볼 수 있듯, 이…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넷플릭스 세계화의 비밀 2020년 9월 17일 황근 KISO저널 제40호, 문화시평 재래식 규제와 첨단 알고리즘의 힘겨루기 넷플릭스의 성장이 예사롭지 않다. 2010년 DVD 대여방식에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할 때만 해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넷플릭스가 불과 10년 만에…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코로나19(COVID-19) 대응 종합보고서’ 리뷰 2020년 7월 29일 김병일 KISO저널 제39호, 문화시평 코로나19(COVID-19)의 발생 및 세계적 유행 단계 돌입에 따라 국정 전 분야에 걸쳐 감염병 위기 대응과 관련된 정책 및 입법 마련이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코로나 이후의 세계 2020년 7월 20일 김국현 KISO저널 제39호, 문화시평 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진 지도 몇 달, 안타깝게도 코로나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코로나는 우리의 일상을 바꿔 버렸다. 언젠가는 이 사태가 끝이 나겠지만, 그 이후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고객이 기존 비즈니스를 파괴한다’ – ‘디커플링’ 서평 2020년 3월 27일 정혜승 KISO저널 제38호, 문화시평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가 위기에 놓인 미디어 기업을 탐방한 뒤, 공들여 사례연구 보고서를 작성했다. 스스로 보고서 내용에 뿌듯해 했지만, 정작 해당 기업은 발표해서는 안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지능화사회, 자동화된 불평등을 말하다 2019년 12월 18일 이희옥 KISO저널 제37호, 문화시평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은 미래사회를 상상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요소들이다. 이들 중 인공지능은 인간의 노동력과 의사결정을 기계가 대신해주리라는 인류의 기대가 실현되는 과학기술의 종착역이 아닐까…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탈진실 시대에 팩트를 논하다 2019년 9월 30일 김유향 KISO저널 제36호, 문화시평 팩트(사실)란 무엇인가? 거미줄같이 연결된 소셜 네트워킹의 시대, 진짜 같은 가짜를 만들어내는 딥페이크(deep fake) 시대, 첨단 AI와 ICT 기술의 발전의 시대에 인간은 더 똑똑하면서 자유로워지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연결사회, 신권력 주인으로서의 초대 2019년 6월 4일 이희옥 KISO저널 제35호, 문화시평 인터넷의 확산, 디지털화와 네트워킹에 기반한 지식정보화 시대를 지나오면서 데이터 권력이라는 주제로 수많은 담론이 오갔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데이터 권력의 등장을 예견했으며, 미래 사회는 데이터를 장악하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2019년 3월 13일 구갑우 KISO저널 제34호, 문화시평 '4차 산업혁명' 대 '세 세기 산업혁명'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가운데 하나로 네트워크 이론을 국제정치학에 접목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미래전략네트워크”란 연구모임이 출간한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글로벌…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