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디지털에서 왜 문해력이 핵심능력이 되는가 2022년 3월 3일 구본권 KISO저널 제46호, 문화시평 15세기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인쇄기술 덕분에 인류는 지식의 시대를 만나기 시작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은 오랫동안 소수 특권층의 영역이었다. 서양에서는 라틴어를, 동양 한자…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한국사회의 ‘경로의존성’에 주는 일침 2021년 12월 14일 이희옥 KISO저널 제45호, 문화시평 BTS가 한국어로 부른 노래로 빌보드를 누비고, 봉준호 감독이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을 거머쥔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은 코로나19 방역조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해당 기간 GDP 위축이 가장 적은…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AI 교과서’ 저자가 말하는 인공지능과 공존의 길 2021년 12월 6일 구본권 KISO저널 제45호, 문화시평 인공지능을 둘러싼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는 ‘인공지능이 사람을 능가하는 상황이 과연 올 것인가’이다. 기술 발달로 인해 결국엔 사람보다 뛰어난 지능을 지닌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이나 ‘일반…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격변하는 기술, 사유하는 인간 2021년 9월 27일 김훈건 KISO저널 제44호, 문화시평 ⓒ한겨레출판. 우리는 정보통신기술과 관련 산업의 급격한 발전이나 팽창이 우리의 생활 세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는 것을 이미 직‧간접적인 경험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 최근 부상하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메타버스, 과연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 2021년 9월 6일 임소혜 KISO저널 제44호, 문화시평 윌리엄 깁슨의 유명한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 있지 않을 뿐”이라는 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시간을 훌쩍 뛰어 넘어 오래된 작가의 상상력이 현실이 되어가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거품을 현실로 만드는 우리 삶의 체계, 전환적 과학을 기대하며 2021년 6월 28일 김지연 KISO저널 제43호, 문화시평 지아 통의 책은 무엇보다 먼저 레이첼 카슨을 생각나게 했다. 60년 전 카슨은 처음으로 과학이 개발주의에만 의존할 때의 심각성을 제기했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사람들은 대량 농업을…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인간은 어떻게 모든 종을 초월한 존재가 되었는가? 2021년 6월 28일 정인경 KISO저널 제43호, 문화시평 초월의 의미 영국의 과학저술가, 가이아 빈스의 <초월>은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 있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에 비하면 과학책에 가깝지만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에 비하면 인문학책에 가깝다. 왜 이런…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진실보다 강한 탈진실의 힘 2021년 3월 22일 배진아 KISO저널 제42호, 문화시평 아무리 그래도 ‘개소리(Bullshit)’라니, 이런 단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해도 괜찮을까? 처음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2020, 다산북스)를 접했을 때 한편으로는 놀라면서 다른 한편으로 불편한 마음이 들었다. 책을 읽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기술의 돌격 시대, 우리가 자유로운 소비자를 넘어서야 하는 이유 2021년 3월 10일 도승연 KISO저널 제42호, 문화시평 『A.I 시대, 본능의 미래』 (제니 클리먼 저)는 가히 현대 과학기술의 돌격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법한 최첨단 기술적 구현물들에 대한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 원제는 Sex…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미국 다큐멘터리, <소셜딜레마> 2020년 12월 4일 이성엽 KISO저널 제41호, 문화시평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언은 언제 어디에서나 진리로 통한다. 인간은 개인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홀로 살 수 없으며, 사회를 형성해 끊임없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관계를…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