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검열관들-국가는 어떻게 출판을 통제해왔는가 2022년 9월 26일 김훈건 KISO저널 제48호, 문화시평 이 책은, 서로 다른 시기와 지역의 세 권위주의 체제 아래에서 인쇄물(책)이 정체(政體)로부터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는지를, 검열관들의 일상 업무에 관한 여러 사료(동독 사례의 경우…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고독’의 시간에서 ‘고립’으로 내몰리지 않기 위하여 2022년 6월 15일 김찬호 KISO저널 제47호, 문화시평 “지금 혼자가 되지 않으면 영영 혼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코로나19 기간에 서울시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촉구하면서 내걸었던 슬로건이다. 다소 섬뜩한 경고와 함께 고난도의 행동수칙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문화시평] 노동의 미래 2022년 6월 14일 구본권 KISO저널 제47호, 문화시평 디지털 시대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미래의 변화 방향을 조망하는 서적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독자들과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영역은 산업 구조변화로 인한 일자리와 고용의 불안정성이다. 자동화와…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분열된 사회에서 신뢰의 미래를 고민하며 2022년 3월 23일 김희삼 KISO저널 제46호, 문화시평 레이첼 보츠먼의 『신뢰 이동』을 읽고 이 글을 쓰는 시점은 한국의 20대 대선이 끝난 직후다. 복합적인 요인이 합쳐진 결과지만, 거대 양당 후보에 대한 진영 결집이 일어나…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디지털에서 왜 문해력이 핵심능력이 되는가 2022년 3월 3일 구본권 KISO저널 제46호, 문화시평 15세기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인쇄기술 덕분에 인류는 지식의 시대를 만나기 시작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은 오랫동안 소수 특권층의 영역이었다. 서양에서는 라틴어를, 동양 한자…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한국사회의 ‘경로의존성’에 주는 일침 2021년 12월 14일 이희옥 KISO저널 제45호, 문화시평 BTS가 한국어로 부른 노래로 빌보드를 누비고, 봉준호 감독이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을 거머쥔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은 코로나19 방역조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해당 기간 GDP 위축이 가장 적은…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AI 교과서’ 저자가 말하는 인공지능과 공존의 길 2021년 12월 6일 구본권 KISO저널 제45호, 문화시평 인공지능을 둘러싼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는 ‘인공지능이 사람을 능가하는 상황이 과연 올 것인가’이다. 기술 발달로 인해 결국엔 사람보다 뛰어난 지능을 지닌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이나 ‘일반…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격변하는 기술, 사유하는 인간 2021년 9월 27일 김훈건 KISO저널 제44호, 문화시평 ⓒ한겨레출판. 우리는 정보통신기술과 관련 산업의 급격한 발전이나 팽창이 우리의 생활 세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는 것을 이미 직‧간접적인 경험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 최근 부상하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메타버스, 과연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 2021년 9월 6일 임소혜 KISO저널 제44호, 문화시평 윌리엄 깁슨의 유명한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 있지 않을 뿐”이라는 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시간을 훌쩍 뛰어 넘어 오래된 작가의 상상력이 현실이 되어가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거품을 현실로 만드는 우리 삶의 체계, 전환적 과학을 기대하며 2021년 6월 28일 김지연 KISO저널 제43호, 문화시평 지아 통의 책은 무엇보다 먼저 레이첼 카슨을 생각나게 했다. 60년 전 카슨은 처음으로 과학이 개발주의에만 의존할 때의 심각성을 제기했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사람들은 대량 농업을…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