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의 윤리의식: 우리는 AI도 훈육할 수 있을까? 2022년 6월 27일 임소혜 KISO위원 칼럼, KISO저널 제47호 ‘데이브, 미안합니다. 유감이지만 그럴 수 없습니다(I’m sorry Dave, I’m afraid I can’t do that)’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1968년 SF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목성으로 미션을 안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노동의 미래 2022년 6월 14일 구본권 KISO저널 제47호, 문화시평 디지털 시대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미래의 변화 방향을 조망하는 서적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독자들과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영역은 산업 구조변화로 인한 일자리와 고용의 불안정성이다. 자동화와… 더 읽어보기→
‘AI 교과서’ 저자가 말하는 인공지능과 공존의 길 2021년 12월 6일 구본권 KISO저널 제45호, 문화시평 인공지능을 둘러싼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는 ‘인공지능이 사람을 능가하는 상황이 과연 올 것인가’이다. 기술 발달로 인해 결국엔 사람보다 뛰어난 지능을 지닌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이나 ‘일반… 더 읽어보기→
KISO ‘특별분과’ 출범…IT 신기술 자율규제로 외연 확대 2021년 6월 30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43호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의 조직 개편에 따라 제4분과가 출범했다. 제4분과인 특별분과는 자율규제DB소위와 신기술 소위로 구성되며, IT 기술과 관련된 자율규제를 수행한다. KISO측은 게시물, 검색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알고리즘… 더 읽어보기→
지능정보화 기본법 개정 의의와 한계 2021년 3월 8일 김형준 KISO저널 제42호, 법제 동향 1. 들어가며 4차 산업혁명이라고 표현되는 지능정보사회의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엘빈 토플러(Alvin Toffler)가 1980년 제3의 물결(The Third Wave)로 정보화 사회의 충격을 말한 이후 사회는 또… 더 읽어보기→
기계가 드러내는 편향, ‘이루다’만 문제였을까? 2021년 3월 8일 오세욱 KISO저널 제42호, 기획 동향 지난 1월 인공지능 챗봇 ‘이루다’는 남성 이용자들의 성희롱, ‘이루다’의 혐오 발언, 개인정보 활용 등 인공지능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을 제기했다. 이미 여러 곳에서 이 문제를 다루고… 더 읽어보기→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격차와 극복과제 2020년 12월 28일 성봉근 KISO저널 제41호, 기획 동향 1. 들어가며 -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과 패러다임의 전환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사회와 기업 등 민간 부문 뿐만 아니라 공공 부문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그야말로 코로나 이전에는…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창조력 코드 2020년 9월 28일 김상순 KISO저널 제40호, 문화시평 수학자와 법률가 『창조력 코드(2019)』(The Creativity Code: How AI is Learning to Write, Paint and Think)는 수학자가 인공지능(알고리듬)에 대하여 쓴 책이다. 부제에서 볼 수 있듯, 이… 더 읽어보기→
지능화사회, 자동화된 불평등을 말하다 2019년 12월 18일 이희옥 KISO저널 제37호, 문화시평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은 미래사회를 상상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요소들이다. 이들 중 인공지능은 인간의 노동력과 의사결정을 기계가 대신해주리라는 인류의 기대가 실현되는 과학기술의 종착역이 아닐까… 더 읽어보기→
인공지능 기술을 윤리적으로 탐하다: 영국의 데이터윤리혁신센터 설치 사례 2019년 1월 4일 윤혜선 KISO위원 칼럼, KISO저널 제33호 ‘데이터 주도 혁신(data driven innovation)’이 유행어에서 패러다임으로 안착된 2018년은 그 원천이 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적어도 법적 관점에서, 한 획이 그어진 해다. 2016년 4월 14일 제정된…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