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섹션 KISO ‘정책규정 해설서 발간 기념’ 세미나 지상중계 2015년 12월 14일 KISO KISO저널 제21호, 이용자 섹션 ■ KISO '정책규정 해설서 발간 기념' 세미나 개최 2015년 10월 27일, (사)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는 그간의 정책규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주요 사례를 붙여, 누구나 KISO의 정책을 이해하기 쉽도록…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구글코리아 개인정보 이용내역 비공개 논란과 국내법 적용에 대한 법적 대응 2015년 9월 25일 김보라미 KISO저널 제20호, 이용자 섹션 개인들의 하루 일상 중 상당수의 시간은 온라인으로 연결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이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핸드폰 GPS, 개인정보 등을 수집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서 매일의 일상이 디지털화된 정보들로…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디지털 큐레이션, 새로운 미디어 생산과 소비 그리고 쟁점들 2015년 9월 18일 송해엽 KISO저널 제20호, 이용자 섹션 1. 디지털 큐레이션의 성장 문서, 뉴스, 음악, 사진, 동영상, 지도, 개인의 일상, 각종 센서에서 나오는 자료 등 만물의 디지털화는 최근의 가장 중요한 현상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뽐뿌의 바이럴 마케팅 현황 및 대응자세 2015년 6월 30일 주이루 KISO저널 제19호, 이용자 섹션 1. 뽐뿌와 바이럴 마케팅 흔히 뽐뿌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휴대폰일 것이다. 물론 뽐뿌가 휴대폰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확률형 아이템의 실질적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5년 6월 23일 최주호 KISO저널 제19호, 이용자 섹션 1. 서언 확률형 아이템은 게임 내에서 일정한 확률에 따라 특정(희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을 의미한다. 이 같은 확률형 아이템은 게임 이용자로 하여금 특정 아이템을…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미디어 환경 변화와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등장 2015년 3월 28일 윤호진 KISO저널 제18호, 이용자 섹션 1. 스마트 핑거 콘텐츠, 손가락이 문화를 지배하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 ‘손가락 하나 까닥’하는 최소한의 행위로 ‘즐거움’을 소비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간결하고 짧은 콘텐츠’가 호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한국의 온라인 극단주의(Online Extremism) 2015년 3월 28일 박권일 KISO저널 제18호, 이용자 섹션 ‘김군’의 IS 합류는 인터넷이 없었으면 불가능했거나 지금보다는 훨씬 어려웠을지 모른다.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온라인 공간은 진보적 낙관이 넘실대고 있었다. 지금도 온라인 공간은 오프라인보다 자유롭고 진보적이지만,…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당신의 인터넷과 메신저도 감시당했을 수 있다 :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투명성 보고, 인터넷 감시의 심각성을 말하다 2015년 3월 6일 손지원 KISO저널 제18호, 이용자 섹션 지난 1월 말,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투명성보고서 (네이버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리포트이나 편의상 이하 모두 투명성보고서라 칭한다)를 발표했다. 이 투명성보고서들은 각 사업자에 대하여 정부기관이 통신제한조치(감청), 통신사실확인자료, 통신자료제공, 압수·수색의… 더 읽어보기→
이용자 섹션 공유기업 대표주자 우버(UBER), 규제논란의 이모저모 2014년 12월 18일 최진우 KISO저널 제17호, 이용자 섹션 I. 서론 공유경제란, 한번 생산된 재화 내지 서비스를 여러 사람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그 사용가치를 극대화하는 소비문화이자 경제시스템이다. 대량생산, 대량소비, 매스미디어라고 하는 세… 더 읽어보기→
“망명하라” – 인터넷 감시 위협에 맞선 테제 2014년 12월 18일 권은영 KISO저널 제17호, 이용자 섹션 1. 사이버 망명의 유행 망명(亡命)은 정치적으로 억압당하거나 억압당할 위험이 있는 시민이 현 국가를 버리고 다른 국가로 이주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이때 망명은 기존 사회에 대한 강력한…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