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관련 허위조작정보에 관한 정책결정 리뷰 1. 정책 결정의 기본 내용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는 2021년 4월 15일에 <코로나19 관련 허위조작정보에 관한 정책>(정책위원회 운영규정 제12조 제2호)을 발표했다. 온라인에서 허위조작정보는 인터넷표현규제와 관련해 가장 뜨거운…
언론기관 대표의 게시물 삭제요청에 대한 심의결정 리뷰 2020년 7월 29일 황용석 KISO저널 제39호, 정책 및 심의결정 리뷰 1. 심의결정의 개요 신청인은 방송사 대표의 지위를 갖고 있으며, 게시물이 신청인에 관한 단순 루머를 담고 있고, 그 내용이 신청인과 무관하고 명예를 훼손한다는 이유로 3건의 게시물에… 더 읽어보기→
정책규정 제5조와 제13조에 대한 리뷰 : 그 의의와 나아갈 길 2019년 3월 27일 황용석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인터넷 표현공간에 대한 정부의 제도 및 행정적 내용규제가 강한 한국에서 자율규제의 공간은 많지 않았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의 출범은 표현공간에 대한 자치주의적 규범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용자… 더 읽어보기→
포털뉴스 논쟁, 객관적 상황평가가 생산적인 논의의 출발 2017년 12월 26일 황용석 KISO저널 제29호, 편집위원 칼럼 포털뉴스를 둘러싼 사업자간의 이해갈등 및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쟁은 오래되고 익숙한 주제이다. 이 논쟁이 점화된 2000년대 중반과 비교해서 볼때, 알고리즘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더해진… 더 읽어보기→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과 가짜뉴스 효과 2016년 12월 26일 황용석 KISO저널 제25호, 편집위원 칼럼 ■ 가짜뉴스(fake news)와 정치사회정보의 매개효과 2003년 4월4일의 일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MBC를 필두로 국내 언론사들의 속보로 나가자 당시 주식시장이 출렁거렸다. 첫 보도를 한 MBC는… 더 읽어보기→
포털뉴스의 자율적 책무활동의 쟁점과 방향 2015년 12월 24일 황용석 KISO저널 제21호, 국내외 주요 소식 포털뉴스효과, 다양성의 양면성 근대 민주주의의 발전과정에서 언론사는 대의제 정치의 중심에 자리하면서 뉴스의 발행인으로서 책임과 영향력을 동시에 가졌다. 언론의 영향력에 부합하는 사회책임론(social responsibility)과 함께 보다 최근에는… 더 읽어보기→
연관검색어 ‘이단’에 대한 심의결정 2014년 12월 31일 황용석 KISO저널 제17호, 정책 및 심의결정 리뷰 1. 종교의 자유와 연관검색어에서의 ‘이단’ 표현 본 건은 현직 목사로 재직 중인 신청인이 자신의 교회명과 연동해서 제시되는 연관검색어 가운데 ‘이단’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것을 삭제요청한 건이다.… 더 읽어보기→
연관검색어 및 자동완성검색어 관련 정책결정 리뷰 2012년 12월 17일 황용석 KISO저널 제9호, 정책 및 심의결정 리뷰 1. 개인화 검색서비스기술의 특성 KISO 정책결정 제15호인 ‘연관검색어 및 자동완성검색어 관련 정책결정’은 개인화 검색 서비스의 중요 운영원칙을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정책이다. 그동안 웹의 방대한 자료를 검색할… 더 읽어보기→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 기사배열 자율규약 제정의 의미 2012년 4월 16일 황용석 KISO저널 제6호, 특집 1.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의 법적 성격과 자율규약 다음커뮤니케이션, 야후코리아, SK커뮤니케이션즈, NHN, KTH 등 국내 주요 포털사들이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 기사배열 자율규약’을 발표했다. 이번 자율규약은 한국인터넷기업협회(이하 인기협)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의 공동 주관… 더 읽어보기→
인터넷자율규제와 허위의 통신 2011년 6월 27일 황용석 KISO저널 제4호, 특집 1. 헌재판결의 의미와 인터넷자율규제의 필요성 전기통신기본법 제47조 제1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따라 발생하는 규제장치의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큰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위헌결정은 “공익을 해할…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