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대테러사무국, KISO 자율규제 사례 주목 2023년 6월 20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51호 <사진> KISO가 지난 5월 24일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유엔 대테러사무국(CTED) 대표단 라운드테이블에 초청받아 불법·유해정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소개했다. 사진은 (왼쪽) 이인호 KISO 의장… 더 읽어보기→
‘법적 규제와 자율규제의 조화’… KISO, 한국언론법학회 봄철 학술대회 참여 2023년 6월 20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51호 <사진>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가 지난 4월 15일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한국언론법학회 봄철 학술대회에 참여했다. 이날 박연규 KISO 책임연구원은 토론자로 참여해 자율규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 의장 이인호)는… 더 읽어보기→
KISO저널 제50호 통합본 다운로드 2023년 3월 31일 KISO KISO저널 제50호, 통합본 다운로드 ※ 클릭 → KISO 저널(제50호 통합본 다운로드) ※ 해당 저널의 정식 표기명은 KISO저널로 위 게시물을 참고문헌으로 표기하실 때에는 간행물명을 「KISO저널」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정식 표기명… 더 읽어보기→
KISO 유은재 연구원, 인터넷 환경의 신뢰도 기반 조성 유공 표창 받아 2023년 3월 27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50호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정책팀 유은재 연구원(사진)이 지난해 12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위원장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표창은 인터넷 환경의 신뢰도 기반 조성에 대한 정부 포상으로, KISO는 코로나19 펜데믹 상황 속에서… 더 읽어보기→
서비스운영소위, 인물정보에 ‘치과위생사’ 등 의료기사 직업군 확대 2023년 3월 27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50호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의장 이인호) 서비스운영소위에서 인물정보서비스의 직업목록을 꾸준히 확대해나가고 있다. 서비스운영소위는 2023년 3월 보건인 분야에 5개 직업명을 추가했다.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영양사’가 추가됨에 따라 해당… 더 읽어보기→
KISO저널 제49호 통합본 다운로드 2022년 12월 27일 KISO KISO저널 제49호, 통합본 다운로드 ※ 클릭 → KISO 저널(제49호 통합본 다운로드) ※ 해당 저널의 정식 표기명은 KISO저널로 위 게시물을 참고문헌으로 표기하실 때에는 간행물명을 「KISO저널」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정식 표기명… 더 읽어보기→
네이버·카카오 ‘욕설 DB’ 통합…중소 커뮤니티에 혜택 2022년 12월 16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49호 네이버와 카카오가 각각 보유한 사용자 욕설 등 데이터베이스(DB)가 통합돼 중소 인터넷 커뮤니티도 운영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 의장 이인호)는 인터넷상 욕설, 비속어 등을… 더 읽어보기→
이희옥 법학박사, ‘유당신진언론법상’ 수상 2022년 12월 16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49호 이희옥 법학박사(KISO저널 편집위원, 네이버 서비스정책실 부장·사진 오른쪽)가 제6회 유당신진언론법상을 수상했다. 한국언론법학회는 12월 1일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열린 정기총회 및 제12대 회장 취임식에서 이 박사의 논문 ‘메타버스… 더 읽어보기→
KISO, UGC 회원사 간담회 개최 2022년 12월 16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49호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 의장 이인호)는 지난 11월 23일 ‘2022년 KISO UGC 회원사 간담회’를 개최했다. UGC(User Generated Content)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말한다. KISO는 새로 출범한 이용자콘텐츠분과 산하… 더 읽어보기→
[KISO 포럼 현장중계] ‘자율규제 모델, KISO에서 답을 찾다’ 2022년 12월 15일 KISO KISO저널 제49호, 기획 동향, 특집 <사진=왼쪽부터 계인국 교수, 정경오 변호사, 정지연 사무총장, 이인호 위원장, 김준모 과장, 최선경 과장, 김현경 교수, 이승선 교수> 온라인 공간이 일상화되면서 그 안에서 펼쳐지는 각종 해악에…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