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에 들어온 ‘AI 조교’의 빛과 그림자 ⓒ재미나이 1. 기술과 교육기관 2025년 사회의 화두는 단연 AI다. 새롭게 출범한 정부에서도 AI 강국을 외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적용한 프로젝트가 운영되고 있다. 특히…
제로 클릭 시대, 메모리를 지배하는 자가 승리한다 2025년 8월 12일 강정수 KISO저널 제60호, 기획 동향 매주 일요일은 세탁기를 돌리는 날이다. 여느 일요일처럼 빨래를 시작했지만, 세탁기는 메시지 창에 “5C”를 보여주며 작동을 멈췄다. 삼성전자 세탁기 사용설명서를 찾아보거나 네이버 또는 구글에 검색하면 해결… 더 읽어보기→
나는 AI와 공부한다: AI 활용법 2025년 5월 29일 박성순 KISO저널 제59호, 문화시평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라는 이름으로 구글 딥마인드사의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알파고와 대한민국 프로 바둑 기사인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국이 있었다. 1999년 IBM 컴퓨터… 더 읽어보기→
정보를 만든 인류는 왜 정보에 조종당하는가? 2024년 11월 25일 구본권 KISO저널 제57호, 문화시평 인간 지능을 능가하는 수준의 기계지능이 등장해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다. 지금까지 정보를 만들고 유통하고 이용하는 유일한 주체는 인간이었는데, 변화가 생겨났다. 무어의 법칙을 능가하는 속도로 빠르게 발달하고… 더 읽어보기→
AI 생태계 현주소: 스타트업의 목소리 2024년 9월 26일 김정환 KISO저널 제56호, 기획 동향 1. AI 시장 현황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은 2030년까지 약 1,098조 원(약 8,26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Statista, 2024). 데이터 폭증, 인프라 고도화, 복합 모델의 등장… 더 읽어보기→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에서 미디어를 다시 보다 2024년 9월 10일 박성순 KISO저널 제56호, 문화시평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은 인터넷 밈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본 책이다. 책의 제목만 봤을 땐 유명한 밈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 밈에 의한 현상들을 고찰할 것이라고… 더 읽어보기→
챗GPT 시대의 필수역량 ‘AI 리터러시’ 2023년 3월 8일 구본권 KISO저널 제50호, 이용자 섹션 거대 언어모델(LLM)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ChatGPT) 열풍이 전세계를 휩쓸고 있다. 언론에는 날마다 챗GPT에게 물어본 내용을 다룬 기사와 칼럼이 수십건씩 쏟아지고 있으며, 챗GPT가 각국의 대학입학 시험과… 더 읽어보기→
인공지능(AI)의 윤리의식: 우리는 AI도 훈육할 수 있을까? 2022년 6월 27일 임소혜 KISO위원 칼럼, KISO저널 제47호 ‘데이브, 미안합니다. 유감이지만 그럴 수 없습니다(I’m sorry Dave, I’m afraid I can’t do that)’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1968년 SF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목성으로 미션을 안고… 더 읽어보기→
심심이, 레드홀릭스 등 2개社 KISO 신규 가입 2021년 6월 30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43호 심심이 주식회사와 (주)나인팩토리인터랙티브 등 2개사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의 회원사로 가입했다. KISO의 회원사가 되면 이용자컨텐츠분과, 서비스운영분과, 온라인광고분과, 특별분과 등 4개 분과 및 소위에 선택적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더 읽어보기→
KISO ‘특별분과’ 출범…IT 신기술 자율규제로 외연 확대 2021년 6월 30일 KISO KISO뉴스, KISO저널 제43호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의 조직 개편에 따라 제4분과가 출범했다. 제4분과인 특별분과는 자율규제DB소위와 신기술 소위로 구성되며, IT 기술과 관련된 자율규제를 수행한다. KISO측은 게시물, 검색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알고리즘…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