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동향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제공 서비스: 관련 규제 현황 및 전망 2015년 12월 15일 곽동균 KISO저널 제21호, 기획 동향 1. OTT(over the top)와 방송 그간 방송(broadcasting)이라는 말을 들을 때 사람들이 가장 많이 떠올리는 이미지는 ‘TV를 통해 흘러나오는 영상과 음향’이었다. 하지만 TV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물론…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기획특집 ③> 소비자 리뷰 게시물 관련 정책 추진의 실현 가능성 및 한계 2015년 9월 23일 박아란 KISO저널 제20호, 기획 동향 1. 소비자 리뷰의 유형과 법적 쟁점 인터넷상의 소비자 리뷰를 그 작성 목적에 따라 분류한다면 크게 아래의 세 가지의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업자 또는…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기획특집 ②> 바이럴 마케팅 관련 소비자 이슈와 규제 방향 2015년 9월 22일 오수진 KISO저널 제20호, 기획 동향 1. 소비자 정보원천으로서 인터넷의 의미 인터넷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터넷은 전통적인 소비자문제의 가장 큰 발생요인으로 꼽히던 사업자와 소비자간 정보비대칭(asymmetry information)하에서 소비자의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기획 특집 ①> KISO ‘소비자 리뷰 게시물과 표현의 자유’ 토론회 지상중계 2015년 7월 23일 KISO KISO저널 제20호, 기획 동향 지난 7월 14일,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는 인터넷 상의 소비자 리뷰 게시물 처리에 관한 쟁점을 주제로 한 '소비자 리뷰 게시물과 표현의 자유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소비자 리뷰 게시물과…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인터넷 사업자의 음란물 자율규제 현황 2015년 6월 30일 오경수 KISO저널 제19호, 기획 동향 1. 개요 음란물에 대한 문제를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에 입장에서 조금 살펴보면, 이용자들의 인터넷서비스이용에 대한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봤을 때 연령구분 없이 전 국민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에서 음란물은…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 시대의 도래 2015년 6월 29일 권오성 KISO저널 제19호, 기획 동향 1. 2007년의 혁명 2006년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은 올해의 인물로 ‘당신'(YOU)을 선정했다. ((타임(2006.12.25) 올해의 인물: 당신. http://content.time.com/time/covers/0,16641,20061225,00.html)) 그해는 UCC(User Created Contents, 사용자제작콘텐츠)와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회관계망서비스) 등…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레진코믹스 접속차단 사태와 국내 음란물 규제의 법적 쟁점 2015년 5월 26일 황성기 KISO저널 제19호, 기획 동향 1. 레진코믹스 접속차단 사태의 배경 및 경과 과정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2015년 3월 24일 웹툰 플랫폼 사이트인 ‘레진코믹스’를 차단하는 내용의 시정요구를 의결하였다(2015년 3월 24일 제22차 통신심의소위원회). 그…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포털 뉴스서비스와 인터넷신문의 상생과 조건 2015년 3월 27일 김위근 KISO저널 제18호, 기획 동향 * 본 글은 2015년 2월 10일에 있었던 ‘인터넷신문 윤리와 뉴스 이용자 권익 증진 토론회’의 발제문을 수정․보완하였다. 1. 언론 권력으로 뉴스 유통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 접어들면서…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인터넷 정보감시 사회의 위험과 이용자 보호 2014년 12월 31일 송경재 KISO저널 제17호, 기획 동향 1. 페이스북 창업자의 이중성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프라이버시의 시대는 끝났다(The Age of Privacy is Over)”라고 공언하며 네트워크 사회의 연결성을 강조했다. 인터넷과 SNS가 발전하면서…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미국정부의 감시 및 검열요청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 2014년 12월 31일 박경신 KISO저널 제17호, 기획 동향 미국기업들이 자신들의 이용자들을 정부의 감시나 검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응은 2013년 스노든의 폭로 이후에 양적 질적으로 훨씬 개선되었고 다음의 여러 가지 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