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AI 핵심 부품 : 인간 노동자 AI는 이제 누구에게나 일상이 되었다. 자율주행 자동차로 거리를 달리고, 온라인 마켓의 추천 제품을 사고, 챗봇에게 오늘의 운세를 묻고, 터치 몇 번으로 그럴싸한 그림을 그리며 AI…
문화시평 경험의 멸종 The Extinction of Experience 2025년 8월 11일 김대기 KISO저널 제60호, 문화시평 1. 들어가며 멸종. 무분별한 남획이나, 환경오염, 기후 변화, 천적의 등장 등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어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멸종위기종과 같은 생물을 일컬을…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AI와 루만의 메모가 만날 때 2025년 6월 4일 이해원 KISO저널 제59호, 문화시평 독일의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은 9만 장이 넘는 메모를 작성하며 평생을 지식과 대화했다. 그의 메모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질문과 연결의 장치였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정보의…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나는 AI와 공부한다: AI 활용법 2025년 5월 29일 박성순 KISO저널 제59호, 문화시평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라는 이름으로 구글 딥마인드사의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알파고와 대한민국 프로 바둑 기사인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국이 있었다. 1999년 IBM 컴퓨터…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시간체제론의 관점에서 본 기본소득론 2025년 3월 5일 조형근 KISO저널 제58호, 문화시평 1. 현재 진행형의 시간을 둘러싼 투쟁 윤석열 정부가 소위 ‘주 69시간 근로제’ 추진을 공식화한 것이 2023년의 일이었다. 연장 근로 상한을 집중하면 특정 주는 최대 80.5시간까지도…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페이크와 팩트 – 왜 합리적 인류는 때때로 멍청해 지는가(The Irrational Ape) 2025년 2월 24일 김대기 KISO저널 제58호, 문화시평 1. 들어가며 출근길 수많은 정보로부터의 유혹이 시작된다. 정치, 사회, 연예, 문화, 셀 수 없는 분야의 정보들이 자기를 이해해야만 한다고, 때로는 친밀하게 때로는 집요하게 나의 뇌를…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불안 세대 : 디지털 세계는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병들게 하는가. The Anxious Generation: How the Great Rewiring of Childhood is Causing an Epidemic of Mental Illness. 2024년 12월 17일 김현경 KISO저널 제57호, 문화시평 I. 시작하며 이 책의 저자인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는 2018년부터 소셜미디어가 십대의 정신건강 쇠퇴와 민주주의에 미치는 손상에 대하여 연구했다. 저자는 임상심리학자나 미디어 연구자가 아닌 사회심리학자로써 십대의…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정보를 만든 인류는 왜 정보에 조종당하는가? 2024년 11월 25일 구본권 KISO저널 제57호, 문화시평 인간 지능을 능가하는 수준의 기계지능이 등장해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다. 지금까지 정보를 만들고 유통하고 이용하는 유일한 주체는 인간이었는데, 변화가 생겨났다. 무어의 법칙을 능가하는 속도로 빠르게 발달하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에서 미디어를 다시 보다 2024년 9월 10일 박성순 KISO저널 제56호, 문화시평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은 인터넷 밈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본 책이다. 책의 제목만 봤을 땐 유명한 밈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 밈에 의한 현상들을 고찰할 것이라고…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왜 디지털 세상의 미래 예측은 어긋날까? 2024년 8월 23일 구본권 KISO저널 제56호, 문화시평 디지털과 인공지능 세상에서는 변화의 속도와 파장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고 강력하다. 언제나 세상은 변화해왔지만, 최근 변화의 특징은 점점 더 그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