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평] 노동의 미래 디지털 시대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미래의 변화 방향을 조망하는 서적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독자들과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영역은 산업 구조변화로 인한 일자리와 고용의 불안정성이다. 자동화와…
디지털에서 왜 문해력이 핵심능력이 되는가 2022년 3월 3일 구본권 KISO저널 제46호, 문화시평 15세기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인쇄기술 덕분에 인류는 지식의 시대를 만나기 시작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은 오랫동안 소수 특권층의 영역이었다. 서양에서는 라틴어를, 동양 한자… 더 읽어보기→
‘AI 교과서’ 저자가 말하는 인공지능과 공존의 길 2021년 12월 6일 구본권 KISO저널 제45호, 문화시평 인공지능을 둘러싼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는 ‘인공지능이 사람을 능가하는 상황이 과연 올 것인가’이다. 기술 발달로 인해 결국엔 사람보다 뛰어난 지능을 지닌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이나 ‘일반… 더 읽어보기→
‘무한 정보세상’에서 점점 더 소중해지는 것은? 2021년 9월 29일 구본권 KISO저널 제44호, 편집위원 칼럼 디지털 세상에서 우리는 과거에 볼 수 없던, 언뜻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을 만나고 있다. 인류 역사상 오늘날은 어느 시기보다 시민들의 평균 교육기간이 길어져 문맹은 사실상 사라졌다.… 더 읽어보기→
‘이용자 후기’를 놓고 벌어진 ‘표현 자유’와 ‘명예훼손’ 줄다리기 2021년 5월 25일 구본권 KISO저널 제43호, 이용자 섹션 ‘사용자 후기’는 제품과 서비스를 실제 구매하고 사용한 소비자의 정당한 표현 영역인가, 주관적이고 명예훼손성 평가로 영업활동을 방해하는 ‘별점 테러’인가. 인터넷 ‘사용자 리뷰’의 표현 허용 범위를 둘러싼… 더 읽어보기→
‘검색 앱 선탑재’ 소송의 의미와 여파 2020년 11월 20일 구본권 KISO저널 제41호, 국내외 주요 소식 1. 미 법무부, “검색 선탑재 조건 거액 제공” 구글 제소 구글이 미국에서 스마트폰 제조사들에게 구글 검색 앱을 선탑재하도록 하는 조건으로 불공정행위를 해왔다는 혐의로 소송에 처하게… 더 읽어보기→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가 알려준 ‘비효율성의 가치’ 2020년 7월 28일 구본권 KISO저널 제39호, 이용자 섹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촉발된 재택근무가 업무방식의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는 지난 5월 “향후 10년에 걸쳐 재택근무를 중심으로 회사의 운영 방식을 영구적으로… 더 읽어보기→
<디지털 민주주의 현재와 미래-①> 국내 디지털 민주주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 2020년 3월 31일 구본권 KISO저널 제38호, 기획 동향 1. 발단과 전개 : 한국에서 디지털 민주주의의 출발 한국은 선도적으로 광범한 초고속인터넷 환경을 구축한 나라답게, 온라인 환경이 여론 형성과 선거 참여 등 민주주의 제도와… 더 읽어보기→
[문화시평] 안드레아스 와이겐드 저, 『포스트 프라이버시 경제』 2019년 3월 13일 구본권 KISO저널 제34호, 문화시평 프라이버시는 인터넷 디지털 사회에서 답과 균형점을 찾기 어려운 고난도의 딜레마다. 기술기업과 사용자 차원에서 각각 상반된 논리가 부닥치는 게 프라이버시다.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프라이버시의 시대는… 더 읽어보기→
가짜 뉴스의 사회심리학 2018년 8월 24일 구본권 KISO저널 제32호, 국내외 주요 소식 1. 가짜 정보 문제, 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까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 확산됨에 따라 영향력이 커지면서 부작용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 정보…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