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동향 주요국의 OTT 규제 톺아보기 2019년 6월 26일 김대원 KISO저널 제35호, 기획 동향 주요국의 OTT 규제 톺아보기 ((이 글은 2019년 4월의 한국방송학회에서 발표된 글의 일부를 발췌, 수정한 것이다.)) 1. 서론 OTT(over-the-top) 서비스에 대한 규제 논의가 활발하다. 이전부터 전통적…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HTTPS 차단 논란이 우리에게 남긴 과제 2019년 6월 4일 김승주 KISO저널 제35호, 기획 동향 1. 서론 지난 2월 11일 방송통신위원회는 KT나 LG U+ 등과 같은 국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SNI(Server Name Indication)를 이용한…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대담] 진실과 거짓의 싸움에 정부 개입 안 돼…한국형 자율규제 틀 마련해야 2019년 3월 29일 KISO 기획팀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자율 경쟁 상황 지켜보는 정부 인내심 절실” “더 많은 회원사 참여… 향후 10년 미래 내다봐야” 정부 규제 완화에 따른 보완적 처방으로 ‘자율규제’에 대한 요구가…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KISO 연구원 인터뷰] “현실 부딪히며 문제 해결…객관적이고 신중한 자세 유지해야” 2019년 3월 29일 KISO 기획팀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2009년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는 인터넷 사업자들의 시장 자율 정화를 목적으로 설립됐다. 이후 지난 10년간 이용자들의 표현의 자유를 신장하는 동시에 인터넷 공간의 공공성을 제고토록 노력해왔다. ‘규제’란 법제도만을 의미하는…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정책규정 제5조와 제13조에 대한 리뷰 : 그 의의와 나아갈 길 2019년 3월 27일 황용석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인터넷 표현공간에 대한 정부의 제도 및 행정적 내용규제가 강한 한국에서 자율규제의 공간은 많지 않았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의 출범은 표현공간에 대한 자치주의적 규범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용자…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최근 10년간 국내 인터넷 자율규제 관련 법적 환경의 변화 양상 2019년 3월 26일 황창근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Ⅰ. 들어가며 한국의 인터넷 자율규제의 역사는 일천하다. 그 이유에 대하여는 자율규제의 역량 부족, 토대 결핍, 기존매체와 차별성 부족, 규제권한의 중시, 정책입안절차의 미비 등이…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국내 인터넷 인물정보 서비스에 대한 평가 및 전망 2019년 3월 25일 배영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 KISO 인물정보 자문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 1. 들어가는 말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다른 이에 대한 관심은 당연하다.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된 사람에 대한 관심은…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국가는 인터넷을 어디까지 규율해야 할까…자율규제시스템에 거는 기대 2019년 3월 22일 김현아 KISO저널 제34호, 기획 동향 -이용자가 바라본 인터넷자율규제 인터넷이 삶 속에 파고들면서 기업의 비즈니스 영역을 넘어 공공성 확보가 화두가 되고 있다. 인터넷은 기업의 순수한 비즈니스 영역에 머문다기보다 세상과 만나는 관문국…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 및 향후 전망 2018년 12월 24일 정규환 KISO저널 제33호, 기획 동향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 1) 인공지능의 역사 인공지능의 역사에 대해 의견이 다양하지만, 기술로서의 인공지능은 1950년 앨런 튜링(Alan Turing)이 ‘생각하는 기계’의 개념과 이를 평가하는 방법인 ‘튜링… 더 읽어보기→
기획 동향 북한의 통신·인터넷 현황과 전망 2018년 9월 28일 김유향 KISO저널 제32호, 기획 동향 1. 들어가며 2018년 6월과 9월의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한미정상회담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급변하고 있다. 특히 지난 9월 19일 평양에서 전해진 ‘9월 평양공동선언’은 일련의 남북 및…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