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의 투명성과 이용자 신뢰 – 가짜 뉴스를 중심으로 2017년 5월 26일 강장묵 KISO저널 제27호, 이용자 섹션 병인양요로 어지럽던 구한말, 사대부 대감의 걱정은 성리학을 지켜내고 외세를 배척하는 것이었다. 초연결 시대, 우리에게 위정척사사상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100년 전, 성리학이라는 형이상학을 버리고 신문물을 받아… 더 읽어보기→
KISO,「페이크 뉴스와 인터넷」 토론회 개최 2017년 3월 30일 KISO KISO뉴스 사단법인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이하 KISO)는 2017년 3월 20일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19층)에서 ‘페이크 뉴스와 인터넷’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토론회는 이해완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사회를 맡아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더 읽어보기→
탈 진실(Post Truth) 시대의 도래와 소셜 미디어의 역할 2017년 3월 24일 김유향 KISO위원 칼럼, KISO저널 제26호 ■ 탈 진실 시대의 도래 최근 국제정세 및 각국의 국내정치의 급변속에서 이러한 시대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탈(脫) 진실(Post-truth 또는 Post fact)’과 ‘대안적 사실(alt-facts, Alternative fact)’이라는 다소… 더 읽어보기→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과 가짜뉴스 효과 2016년 12월 26일 황용석 KISO위원 칼럼, KISO저널 제25호 ■ 가짜뉴스(fake news)와 정치사회정보의 매개효과 2003년 4월4일의 일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MBC를 필두로 국내 언론사들의 속보로 나가자 당시 주식시장이 출렁거렸다. 첫 보도를 한 MBC는…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