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치연구회 활동 소개
1. 연구회 역사
IT정치연구회는 2002년부터 인터넷이 형성한 새로운 미래 정치현상에 대한 학문적 탐구를 위해 정치현상에 관심이 있는 교수, 연구원, 기자 등 관련 연구자들이 모여 매월 세미나를 진행하면서 한국정치학회 산하 소연구회로 발족하였다.
연구회의 설립목적은 ① IT를 매개로 촉발되는 새로운 정보사회 및 정치현상에 대한 이해 ② 연구 활성화를 위한 월례세미나 개최 ③ IT 정치 관련 연구 프로젝트 참여 ④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연구자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정보 교류 및 토론 ⑤ 세미나 결과의 학술 출판 및 연구성과물 축적 ⑥ 학문후속세대 연구자 교육 및 양성 등이다.
2002년 출범과 동시에 매월 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2004년부터는 매월 둘째 주 금요일에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다양한 정보사회의 현상을 공동 논의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분야의 전문가나 내부에서의 연구성과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2012년 4월부터는 장소를 한국인터넷진흥원 서초사옥으로 옮겨서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에는 총선과 대선을 고려하여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가 정당 및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하고 있다.
<그림 > IT 정치연구회 월례발표회 모습
2. 주요 관심사
주요 관심사로는 인터넷이 형성한 새로운 미래 정치현상으로 초기에는 거버넌스, 규제, 사회운동, 인터넷과 선거, 네트워크 및 연구방법론, IT정책 등의 주요 사회과학 이슈와 노사모 등 네티즌의 역할, 인터넷 선거운동의 특성 등에 대한 논의를 해왔다. 2010년부터 스마트폰과 트위터, 페이스북 등 모바일기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자 종래의 인터넷 기반의 정치활동 분석에서 탈피해 SNS가 정치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있다. 2010년에는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페이스북의 프라이버시 정책 등 SNS의 특성을 규명하였고, 2011년에는 SNS를 통해 본 트위터상의 소통의 특징, 중동의 민주화혁명에서 보여준 SNS의 매개역할, 법적 관점에서의 SNS, 연결망 및 인과지도 등을 이용한 정치적 행태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2012년에는 온라인 정치참여의 촉진요인 분석, 빅데이터의 특성 및 정치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온라인 정치활동, SNS를 통해 본 4.11 총선 및 12월 대선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3. 회원 현황
IT정치연구회는 현재 60명의 연구자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대학에서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기술정치학을 전공하는 교수, 중앙선거관리위원회·국회 입법조사처 등 공공기관의 전문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정보화진흥원 등에 근무하는 연구원, 신문사 기자, 변호사, 대학원 석박사과정에 재학중인 연구자, 네이버·다음 등 포털 및 인터넷 기업의 책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및 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표> 2010~2012 월례발표회 개최 현황
4. 최근까지의 활동
매월 개최되는 월례세미나(여름·겨울방학 제외)에는 20∼30여명의 회원들이 참석하여 주제발표와 활발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세미나에서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학술회의와 저술활동을 병행하여, 학문적인 업적을 축적하고 있다. 최근 5년 동안 월례연구회에서 발표된 논문은 약 50여 편(발표자 60여명)에 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IT정치학 관련 저서 집필, 한국정치학회·국제정치학회의·한국행정학회·한국정책학회·정보사회학회 등 관련 학회에서 인터넷 정치, IT정치, IT정책, 전자정부 관련 학술대회 및 세미나에 논문 발표 및 토론자로 적극 참여하고 있다.
기타 각종 언론매체 등의 인터넷 정치·IT정치와 관련 세미나에 적극 참여하고 칼럼이나 논설 등을 기고하고 있다.



이전 글
다음 글
임시조치 후 게시물 재심의에 관한 정책결정 : [정책-제2012-04-03호] 정책위원회의 정책결정(2012. 4. 25.)
KISO, 신임 사무처장 보임
한국정보사회학회 활동 소개
제18대 국회의 인터넷 규제 관련 법률안 평가와 주요 쟁점
한국정보법학회 활동 소개
일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
한국헌법학회 활동 소개
SNS 이용 규제와 표현의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