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에 대한 정부 규제 심화 우려 2012년 2월 1일 KISO 이슈트렌드 교과부가 '건전게임심사위원회'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게임업계의 사기가 떨어질대로 떨어지고 있다. 이미 이용자도 반발하는 강력한 규제가 시행되고 있고, 자율 규제의 민간 이양이 가시화 되는 시점에… 더 읽어보기→
선거의 해, SNS의 해 2012년 2월 1일 KISO 이슈트렌드 헌법재판소의 공직선거법 관련 한정위헌 결정과 선관위의 SNS 선거운동 허용결정 그리고 각 당의 공천심사 기준에 SNS 활용 정도가 반영되면서 그야말로 이제 곧 다가올 총선을 앞두고 SNS는… 더 읽어보기→
KISO & 인기협, 기사배열 자율규약 확정 2012년 2월 1일 KISO 이슈트렌드 인터넷 뉴스 서비스 품질 및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의 기사배열에 관한 자율규약'이 확정되었다. 이는 그동안 '낚시성' 기사, '선정적' 기사를 통해 이용자들이 뉴스에 대해 갖고 있는… 더 읽어보기→
트위터 방침 발표에 대한 해외 각국 반응 2012년 1월 31일 KISO 이슈트렌드 트위터가 국가별 검열 방침을 발표하고 난 뒤, 다양한 의견들과 반응이?나오고 있다. 국가별로 중국과 태국은 트위터의 방침을 환영하는 입장이다. 트위터가 공식입장을 발표한 이후, 상업주의와 결부된 방침이라는… 더 읽어보기→
제한적 본인확인제 위헌심판 2012년 1월 30일 KISO 이슈트렌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을 일으켰던 제한적 본인확인제의 위헌 소송 결정이 늦어도 상반기 헌법재판소에서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실효성 여부에 대한 논란부터 일부 해외 서비스의 적용… 더 읽어보기→
방통심의위, SNS 불법 게시물 경고제 도입 2012년 1월 30일 KISO 이슈트렌드 방통심의위가 SNS 불법 게시물 사전 경고제를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이용자가 스스로 판단하고 조치할 수 있는 절차를 두는 것이라고 했지만, 과도한 제재 지적을 피하기 위한 고육책에… 더 읽어보기→
트위터, 국가별 검열 적용 발표 2012년 1월 30일 KISO 이슈트렌드 트위터가 국가별로 문제가 되는 콘텐츠는 노출을 제외하기로 하여 네티즌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독재정권에 억압받던 국가들의 민주화 시위를 촉발한 매개체가 트위터였기 때문에 자유로운 의사 표현에… 더 읽어보기→
과도한 게임규제 논란 2012년 1월 27일 KISO 이슈트렌드 여성가족부, 문화관광체육부에 이어 교육과학기술부도 게임 규제에 나설 것으로 보여 게임 산업에 과도한 규제가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언론은 이러한 게임의 규제가 정책적 판단이 아닌 정치적… 더 읽어보기→
방통위, 카카오톡 개인정보수집관련 위반 조사 2012년 1월 27일 KISO 이슈트렌드 방통위가 카카오톡의 개인정보 수집 관련 망법 위반 여부를 조사키로 하였다. 지난해 10월 카카오톡의 개인정보 수집 과정에서의 위법성 여부를 조사하도록 인권위원회가 권고했기 때문이다. 카카오톡을 비롯한 모바일… 더 읽어보기→
구글의 개인정보정책 [빅브라더] 우려 제기 2012년 1월 27일 KISO 이슈트렌드 구글의 개인정보정책 변경에 대해 우려의 시선이 커지고 있다. 구글은 이용자 편의성 증대를 강조하지만 그렇게 바라보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오히려 더욱 정보의 집중화로 모든 개인의 정보를… 더 읽어보기→